본문 바로가기

입이 트이는 영문법

[입이 트이는 영문법] 2017.03.27 - We should go to the gym together. (함께 헬스클럽에 가야 해)

반응형

[입이 트이는 영문법] 2017.03.27 : We should go to the gym together. (함께 헬스클럽 가야 해)


<한글로 먼저 보고 영어로 생각해보기>

지나: 자기 요즘 살 너무 많이 찐 것 같지 않아?

현종: 나 배 나온 돼지처럼 보이지?

지나: 하하하 함께 헬스클럽에 가야 해.


[case 01]

현종: 헬스클럽에 다니려고 벼르고 있었지.

지나: 그런데 왜 여태 시작하지 않은 거야?

햔종: 자기도 알다시피 내가 게으르잖아. 내일부터 헬스클럽에 가겠어.


[case 02]

현종: 맞아. 몸매가 완전 망가졌어. 헬스클럽에서 운동 좀 해야겠어.

지나: 이제 헬스클럽에서 함께 운동을 즐길 수 있어서 기뻐.

현종: 바닷가에 갈 몸을 만들어야 해. 특히 우리 여행 가기 전에 말이야.




<영어로 말해보기>

지나: You've gained a lot of weight, huh?

현종: I look like a pot-bellied pig, don't I?

지나: Hahaha! We should go to the gym together.


[case 01] 

현종: I've been meaning to hit the gym myself.

지나: But how come you didn't start working out?

현종: As you know, I'm a couch potato. But from tomorrow, I'm definitely starting to go to the gym.


[case 02]

현종: Exactly. I'm totally out of shape. I need to work out at the gym.

지나: Now I'm glad that we can enjoy working out together at the gym.

현종: I've got to work on my beach body, especially before our trip.



<Grammar Check>


부가의문문: 주어절이 긍정이면 부정 / 주어절이 부정이면 긍정으로 씁니다.

부가의문문이라고 하면 막연히 어려워보이는데, 단어를 풀어보면 '부가'= 추가로, '의문'=질문을 덧붙이는 것입니다.

즉 원래의 문장에 공기밥 추가하듯 문장 하나를 덧붙여서, 그 문장 전체가 의문문이 되게끔 만드는 것입니다! 바로 다이렉트로 면대면(face to face)으로 이야기하는 구어체에서 쓰입니다. 질문을 하는 경우는 끝을 올려서 말하고, 단순히 다짐하는 경우는 끝을 내려서 발음합니다.

예문을 보면 바로 이해됩니다.^^


She's so pretty, isn't she? (주어절이 긍정 문장으로 나오면 -> 뒤에 부가의문문은 부정의 not을 붙여서 씁니다)

그녀는 정말 예뻐, 그렇지 않아? 


We didn't go to gym last night, did we? (주어절이 부정 문장으로 나오면 -> 뒤에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씁니다)

우리는 어젯밤에 헬스클럽에 가지 않았어, 그렇지?


<이럴 때도 부가의문문을 사용해요 1>

There's very little wine left, is there? 포도주가 거의 남지 않았지? 

주어절에 not이 안 들어갔으니 의문절은 not이 들어가야 하는데 왜 안 들어갈까요?

부정 문장에 꼭 not만이 아니어도, little이나 seldom 같이 단어 자체에 부정의 의미가 있는 단어를 쓰게 되면! 그 뒤의 절은 반대의 형태로 씁니다.

(주어절이 긍정->의문절은 부정 / 주절이 부정문-> 의문절은 긍정) 


<이럴 때도 부가의문문을 사용해요 2>

명령문 뒤에 will you?가 덧붙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

Stop talking so loudly, will you?



start + to부정사 : ~을 시작하다

I started to exercise from today. 난 오늘부터 운동을 시작했어.

Are you starting to play the violin? 바이올린 연주를 시작할거야?

I'm definitely starting to go to the gym. 나 꼭 헬스클럽 갈거야. (운동 시작할거야.)


enjoy + 동명사 : ~을 즐기다

enjoy 동사 다음에 목적어로 나오는 형태에 대해서는 ~ing폼을 씁니다.

You can enjoy swimming in the hotel pool. 너는 호텔 수영장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어.

We can enjoy working out together at the gym. 우리는 체육관에서 함께 운동을 즐길 수 있어.



<Further Study>

start + to부정사 = start + 동명사

Are you starting playing the violin? 바이올린 연주를 시작할거야?


주어절 + 부가의문문 = 주절 + right (= 주어절은 뭐뭐 해, 그치?/그렇지 않지?)

They don't listen jazz music, right? 그들은 재즈 음악을 듣지 않아, 그렇치?


<비슷한 듯 다른 단어들>

work out 운동하다 (흔히 말하는 헬스)

exercise 운동하다 (헬스를 제외한 수영, 조깅 등 모든 신체 활동)


운동하다라는 말을 써도 어떤 운동을 하는가에 따라 단어를 다르게 써야 하네요.

work out은 우리가 흔히 체육관이나 헬스클럽 가서 하는 운동 말할 때,

exercise는 헬스를 제외한 다른 운동들을 말할 때 씁니다.


What time do you usually work out? 대개 몇 시에 운동해? (헬스클럽에서)

I guess jogging is a good exercise. 조깅은 좋은 운동인 것 같아. (헬스 제외한 운동들=조깅)


반응형